언론공공성 지키는 장치 미디어렙

충북민언련
2011-12-05
조회수 139

[언론학교]종편 힘 앞세워 광고 약탈, 국민 속일 수 있어

조중동매 종편이 개국한 12월1일, 민언련 정연우 대표가 “미디어렙과 방송공공성”이라는 주제 강연에 나섰다. “조중동매종편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시작한 시민언론학교 마지막 강연이다.

비판과 감시 역할을 못하는 언론

▲ 정연우 민언련 대표
정연우 민언련 대표는 ‘사이비 언론이 너무 많다’는 말로 강연을 시작했다. 오늘 12월1일치 조중동 1면은 종편 홍보방송으로 꽉 채워졌다며 우리가 알아야 할 쟁점이 많은데도 자사 홍보수단으로만 이용하는 게 바로 사이비 언론이 아니냐고 물었다. 또 수신료를 인상하기 위해 기자들이 국회의원을 협박하고 나서는 게 사이비 언론인이 아니냐고 했다.

지금 언론은 비판과 감시 역할을 통해 사회적 기여를 하는 게 아니고, 언론인은 자본과 권력으로부터 국민의 알권리를 수호하는 수호천사 역할을 하는 게 아니고 권력에 의해 휘둘리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언론은 자본권력 즉 광고주로부터 절대 자유롭지 못한 형편이라고 강조했다.

광고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언론

정치권력보다 더 무서운 게 자본권력이다. 돈을 무기로 언론을 통제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조중동이 정권에 우호적인 보도를 하고, 언론이 보수화되는 이유는 모두 광고 때문이라고 정연우 대표는 설명했다. 언론은 광고 때문에 대기업과 기득권세력을 비호하는 데 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광고주로부터 간섭 받지 않게끔 하는 게 그래서 내용이 변질되지 않게 하는 것 즉 언론의 공공성을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미디어렙, 광고주 영향력 막는 칸막이 역할

언론의 공공성을 지키려면 반드시 필요한 게 미디어렙이다. 미디어렙은 광고주 영향력이 못 미치게 하는 칸막이 역할을 하며, 사이비 언론을 막는 장치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번에 출범한 조중동매 종편은 미디어렙 적용을 받지 않고 신문처럼 직접 영업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방송도 신문처럼 사이비가 될 수 있고, 광고주와 유착관계를 가져오는 것은 뻔한 일이다. 정연우 대표는 미디어렙이 방송이 광고주에 휘둘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과 여론다양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는데 국회에서 미디어렙법 제정이 늦어졌고, 종편은 등장했다고 설명했다.

SBS, MBC도 자사 미디어렙 가능성 높아, 지역방송은 어찌되나?

미디어렙법 제정이 늦어지는 사이, 종편은 직접 영업을 할 수 있고, SBS도 자사 미디어렙을 만들었다. 정연우 대표는 SBS 자사 미디어렙에 어떤 꼼수가 있는지도 자세하게 설명했다. SBS가 지주회사 SBS미디어 홀딩스와 미디어크레이트를 만들어 그 지분을 60%정도 SBS 윤세영, 윤석민 부자가 갖고 있다고 한다. SBS가 광고를 묶어 팔기 하면서 미디어크레이트에 이익이 되게끔 유리하게 거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렇게 되면 지역민영방송이 SBS 프로그램을 틀 경우 주게 되어 있는 광고비가 적어질 가능성이 커 지역방송으로서는 경영상 어려움을 겪게 될 뿐만 아니라 SBS에 예속화가 더 심해질 것이란 얘기다. MBC도 자사 미디어렙을 가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모두 자사 미디어렙을 갖는다면 이는 광고 직판과 별 다를 바 없다고 정연우 대표는 설명했다.

종편 힘 앞세워 광고 약탈, 국민 속일 수 있어

대기업들은 1980년대부터 신문광고에 원턴방식을 적용하고 있단다. 당시에는 전국일간지 수가 적어 대기업들이 돌아가면서 광고를 주는 방식을 취했다고 한다. 이 방식은 여전히 유효한데 종편에게도 원턴방식을 적용할 수 있고, 언론의 힘을 앞세워 광고를 약탈하고 국민을 속일 수도 있다고 정연우 대표는 우려했다.

정연우 대표는 종편 4개사 모두 살아남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제 종편에서는 대기업 협찬 프로그램들이 분명히 나올 것이라며, 종편과 광고주들의 유착을 피하는 방법은 조중동매 종편 방송 광고를 미디어렙에 적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미디어렙 제정 어떻게 해야 할까

현재 여야는 미디어렙 6인 위원회를 꾸려 연내 합의처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정연우 대표는 만일 민주당이 한나라당과 야합하게 된다면 조중동매 종편 직접 광고 영업에 면죄부를 주게 되는 것이라며 우려했다. 또 미디어렙의 공적성격을 유지할 수 있게끔 하는 허가제와 미디어 다양성을 보장해주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언론학교 4강 출석을 모두 하신 분들께 책선물을 드렸어요.


시민들 열기 뜨거워

민언련 정연우 대표의 강연을 마지막으로 조중동매TV반대, 미디어렙법 제정을 위한 시민언론학교는 막을 내렸다. 이번 언론학교는 충북민언련이 그동안 주최했던 언론학교 때보다 많은 학생과 시민들이 참여해 열기를 더했다. 4개의 강좌에 모두 250명의 시민들이 참여했다. 특히 고등학생, 가족단위 수강생들이 눈길을 끌기도 했다. 4개의 강좌를 모두 수강한 분들에게는 책선물도 했다. 언론학교 수강생들은 강연 내용이 좋았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이번 언론학교는 충북언론노조협의회와 공동으로 주최했다. 충북언론노조협의회와 KBS 노조 충북지부, 대전 맑은 눈안과, 민주노총 충북본부에서 재정적 후원을 해줬고, 충북대 사회학과 학생회에서는 학내 홍보와 강의실 대여 등을 협조했다. 또한 CJB청주방송에서는 자막광고 후원을, 충청리뷰에서는 지면광고 후원을 해줬다.

▲ 마지막 강연을 마치고 단체 기념촬영.

0